책소개
한류 열풍이 가라오케나 서양의 대중문화 같은 한때의 반짝이 문화유행으로 지나가는 돌풍에 그칠 것인지, 새로운 잠재력을 수혈 받아 지속과 다원화에 성공할 것인지는 지대한 관심거리다. 문화인, 지식인, 정책 입안자 등이 이“새로운 동력”(문화원류)이 무엇일까, 어디서 그것을 찾을 것인가에 골몰하고 있다. 우리는 양질의 미디어 문화 컨텐츠의 생산과, 문화 수용, 그리고 문화소비의 사회적 맥락에서 그것의 지속성의 원류(源流)를 발견할 수 있다고 가정한다. 이러한 학문적 가정은, 21세기가 문화와 문화 체험사회로 진입하였다는 판단에 근거하고 있다.
목차
머리말
1장 입론적(立論的) 프롤로그
1. 이론적 발상의 새 패러다임
2. 후기 정보사회와 문화체험사회
3. 문화형성과 동학(Dynamik)의 구조변동
4. 문화횡단성(Transkulturalitt)과 문화퓨전(혼융)
5. 문화 이용, 소비와 체험코드
2장 민족문화에서 한류(韓流)까지
1. 문화이해와 커뮤니케이션
1) 문화개념의 포괄성
2) 문화와 객관적 자연의 대립
3) 노동과 커뮤니케이션
2. 인간, 문화 그리고 커뮤니케이션 미디어
1) 문화의 어원(語源)과 문자언어
2) 문화행위의 특징과 문화재의 차원들
3) 문화행위를 보는 동·서양 관점
3. 한국 문화연구와 대중문화
1) 민족역사와 민족문화
2) 문화의 대중화와 대중문화
3) 대중문화에서 디지털문화로의 진화
4) 문화동학과 문화이론 패러다임 변동
4. 한류 문화와 디지털 문화 동학(Dynamics)
1) 한류 문화의 장르와 성격
2) 한류문화 장르와 CT(Culture/Contents Technology)
3) 문화퓨전시대와 한류
4) 소결론
5. 한류 문화 분석을 위한 “체험코드”이론
3장 지역별 한류 문화커뮤니케이션
1. 일본
1) 한류 콘텐츠의 유형 및 특성
2) 한류 커뮤니케이션 채널의 유형 및 특성
3) 한류 커뮤니케이션 소비자의 특성
4) 한류 커뮤니케이션의 효과
2. 중국·홍콩
1) 한류콘텐츠의 유형 및 특성
2) 한류 커뮤니케이션 채널의 유형 및 특성
3) 한류커뮤니케이션 소비자의 특성
4) 한류커뮤니케이션 효과
3. 대만
1) 한류콘텐츠의 유형 및 특성
2) 한류커뮤니케이션 채널의 유형 및 특성
3) 한류커뮤니케이션 소비자의 특성
4) 한류커뮤니케이션 효과
4. 베트남
1) 한류 콘텐츠의 유형 및 특성
2) 한류 커뮤니케이션 채널의 유형 및 특성 1
3) 한류 커뮤니케이션 소비자의 특성
4) 한류 커뮤니케이션의 효과
4장 장르별 한류 문화 콘텐츠의 유통과 확산
1. 방송 드라마 장르
1) 방송 드라마 콘텐츠 확산 현황
2) 방송 드라마 콘텐츠 확산의 문제점
3) 방송 드라마 콘텐츠 확산을 위한 개선책
2. 영화 장르
1) 영화 콘텐츠 확산 현황
2) 한국 영화 확산의 문제점
3) 영화 확산을 위한 개선책
3. 음악 장르
1) 음악 콘텐츠 확산 현황
2) 음악 콘텐츠 확산의 문제점
3) 음악 콘텐츠의 해외 확산을 위한 개선책
4. 게임 장르
1) 게임 콘텐츠 확산 현황
2) 게임 콘텐츠 확산의 문제점
3) 게임 콘텐츠의 확산을 위한 개선책
5. 한류 문화 콘텐츠 해외 확산을 위한 공통 전략안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