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다매체 다채널 시대의 글쓰기 제안
급변하는 매체환경 속에도 글쓰기 원칙은 있다!
책의 구성도 그러한 의도를 반영했다. 1장에서는 저널리즘 글쓰기의 일반적 특성을 설명했다. 입문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2장에서는 저널리즘 글쓰기에 필수적인 논리 전개 방법과 글을 쓰는 순서, 글의 구조를 설명하고, 글쓰기의 기본 원칙 3가지를 심층적으로 다루었다. 글쓰기의 기초에 해당한다. 3장에서는 신문, 방송, 인터넷, 잡지 등 4대 매체의 기사쓰기 방법을 실무 차원에서 다루었다. 4장은 학생들의 글쓰기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오류와 실수를 집중적으로 분석했다. 남의 글이 아니라 내 글의 문제점이라는 생각을 갖고 주의 깊게 읽어보기를 당부한다. 5장에는 저널리즘 글쓰기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양한 방법들을 소개했다. 우리말 맞춤법 가운데 학생들이 자주 틀리고, 헷갈려하는 항목들을 중심으로 우리말 바로쓰기 항목을 별도 부록으로 추가했다.
목차
머리말
저널리즘 글쓰기란 무엇인가
다른 글쓰기와 차이점 7가지
사실적이다
시의적이다
비판적이다
객관적이다
대중적이다
독자중심적이다
압축적이다
문장의 종류
저널리즘 글쓰기는 논리적 글쓰기
논리적 글이란
논리 전개 이렇게
논리적 글의 조건
글쓰기 순서
주제 정하기
설계도 짜기
구조 정하기
전개 전략
도입(서론)
전개 및 발전
결론
퇴고
글쓰기 기본 원칙
정확하게 써라
명료하게 써라
간결하게 써라
신문
기사의 유형
기사문장 구조
리드 쓰기
본문 쓰기
인터넷
인터넷 기사의 특징
기사쓰기
방송
방송 뉴스의 특징
뉴스 형식
스트레이트 쓰기
기자리포트 쓰기
잡지
읽는 맛이 있어야
취재 내용이 풍부해야
매체 특성에 맞는 글쓰기
잡지기자는 편집자
트렌드를 잡아라
재료보다 요리방식이 중요
문장과 표현
주술 불일치
장황한 수식어
애매하고 막연한 표현
중복과 반복
잘못된 병렬
접속사와 지시어 남발
군살과 사족
품위 없는 표현
남발되는 어휘
잘못된 어순
논리와 문체
사실과 의견 뒤섞기
근거 없는 주장
과장과 일방적 주장
한 문장 여러 이야기
비논리적 전개
주제에서 벗어나기
부정확한 인용
자신 없는 결론
남아 있는 의문
부적절한 비유
하나마나한 이야기
짧고 명쾌하게
정밀한 세부묘사
촌철살인의 키워드
아름다운 비유
직유법
은유법
활유법
의인법
패러디
말보다 똑똑한 숫자
경쾌한 리듬과 호흡
참신한 문체와 발상
맞춤법
자주 틀리는 표현
헷갈리는 표현
띄어쓰기
미주
참고 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