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코미디에 대한 이론서다. 웃음이 왜 터져나오는지 사람들 사이에 코미디가 어떻게 성립하는지 그 메커니즘을 이론적으로 파헤치고 있다. 특히 국내 대중 오락물에 그 이론을 적용하여 해석하고 있어 웃음에 대한 사회문화적 해석을 유도하고 있다.
웃음과 대중 코미디에 대한 본격적인 이론서
웃음과 코미디의 본질은 무엇인가?
그것의 사회문화적 의미는 무엇인가?
웃음과 코미디의 작동 원리에 대한 고급 인문 학술서
고전적인 웃음 이론가인 프로이트와 베르그송으로부터 웃음과 코미디가 지니는 해체적 성격을 파헤친다. 나아가 이들의 명제는 동시대를 가로지르는 다양한 문화론의 용어와 개념을 통해 재해석된다. ‘웃음과 코미디는 아이러니스트의 탈외디푸스적 텍스트’로 결론짓기까지 저자는 우리 시대 수많은 영화와 드라마, 시트콤을 오가며 웃음이 튀어 나오는 방식들을 검증한다.
웃음과 대중 코미디에 대한 사회적 관심은 날로 증가하는데 본격적인 이론서가 없다. 이 책은 움직이는 텍스트, 코미디를 통해 웃음을 터트리고 생동하는 삶을 확인하는 데 적극적이고 풍성한 논거를 제공한다.
목차
들어가기 전에
1. 서론
2. 코미디란 무엇인가?
아리스토텔레스의 정의
닐과 크루닉의 정의
대중 코미디의 정의와 웃음의 문제
3. 코미디의 규칙
코미디의 트릭
프로이트의 공식
베르그송의 공식
대중 코미디와 서사: 긴장과 놀람의 관계
코미디와 내러티브
긴장과 놀람
긴장과 놀람의 양식들
대중 코미디의 역설
4. 대중 코미디의 세계관 혹은 웃음의 관점
대중 코미디의 생산자, 수용자, 희생자
대중 코미디의 3자적 관계
대중 코미디의 ‘생산자’
대중 코미디의 ‘수용자’
대중 코미디의 ‘희생자’
제3의 위치: 표적 혹은 희생자의 문제
우월론
지라르: ‘삼각형의 욕망’과 ‘희생’의 의미
대중 코미디에 있어서 지라르적 ‘희생’의 의미
대중 코미디의 리미널리티
대중 코미디의 불확정성
대중 코미디의 불확정성: 지표성과 성찰성
사회적 양해와 해석상의 관용
5. 대중 코미디의 즐거움: 저항과 복종의 경계
대중 코미디와 즐거움
즐거움의 문제
바르트의 ‘플레지르’와 ‘쥬이상스’
써가는 텍스트와 수용자의 권리
즐거움의 새로운 지평: 일탈과 저항의 즐거움
즐거움과 권력: 대중 코미디의 미시정치적 함의
새로운 권력 개념
대중 코미디 효과와 권력의 문제
일탈과 귀환 그리고 초월의 문제
6.결론: 대중 코미디의 패러다임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