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예술 마케팅
기초 예술 관객 급감…더 이상 미룰 수 없는 문화 예술 분야의 마케팅 강화
국내 공연 예술계는 2000년대 들어 ‘풍요 속의 빈곤’ 현상을 톡톡히 맛보고 있는 상황이다. 최고의 권위를 인정받고 있는 한국문화관광정책연구원의 문화예술향수자조사(2006)에 따르면 2003년 조사와 비교할 때 영화관객만 53.3%에서 58.9%로 증가했을 뿐 다른 기초예술 장르는 예외 없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미술전시는 10,4%에서 6.8%로, 클래식 음악(오페라 포함)은 6.3%에서 3.6%로, 전통 예술은 5.2%에서 4.4%로, 연극 뮤지컬은 11.1%에서 8.1%로, 무용은 1.1%에서 0.7%로 줄어들었다. 뮤지컬과 함께 분류된 연극의 경우, 뮤지컬의 인기에도 불구하고 감소된 것을 보면 순수 연극 관객의 감소가 얼마나 심각한지 쉽게 짐작이 간다. 영화 관객의 압도적 강세로 인해 대중가요 관객조차 10.3%에서 10.1%로 약간 감소한 것으로 조사됐다. 인기가 있다는 대중가요나 뮤지컬도 관객이 감소하는 상황에서 기초예술 분야의 관객 감소로 인한 탈출구 모색은 이제 더 이상 방치할 수 없는 단계가 되고 있다.
이런 상황을 타개하기 위해서는 기초 예술의 비영리적 특성상 정부나 기업의 지원이 있어야겠지만 기초 예술 분야 자체의 노력도 마땅히 강화돼야 한다. 그 노력의 일환으로 예술 경영을 도입해 합리적 운영을 해야 하고 적극적 마케팅으로 백화점이 고객의 마음을 사로잡듯이 예술계도 공연 전시를 통해 관객의 마음을 사로잡아야 한다. 다행히 예술은 인간을 기쁘게 할 수도 있고 감동을 줄 수도 있는 내적 속성을 갖고 있다. 또 뉴 미디어인 인터넷의 발달로 예술 단체 스스로가 마케팅과 홍보의 주체가 될 수 있는 외적 여건도 갖춰져 있다. 이런 내적 속성과 외적 여건을 이용해 예술계는 급변하는 관객의 행동과 여가를 즐기려는 사람을 끌어드리기 위한 치열한 분야와 장르 간 경쟁에서 이겨야 한다.
이를 위해 이 책은 마케팅이론과 계획실행에 있어서 관객개발과 관련된 새로운 접근법과 일반적으로 최고로 인정된 많은 관행들을 소개하고 있다.
예술단체 기관의 경영 및 마케팅 책임자·전공자의 필독서
《문화예술 마케팅》은 예술경영자를 비롯해 마케팅 담당자, 모금책임자, 이사진, 예술경영 교수 및 학생들에게 빼놓을 수 없는 길잡이가 될 것이다. 이 책은 또 재단의 책임자와 기업의 임원, 컨설턴트, 예술 관련 기관의 경영자, 예술가 자신과 개인으로 예술단체와 깊은 연관을 갖고 일하거나 예술 마케팅의 문제에 대해 심층적으로 이해하기를 원하는 사람들에게도 가치가 있을 것이다.
마케팅은 전체 예술단체의 정신자세와 관련이 있는 것이지 단순히 마케팅 부서만의 기능은 아니다. 그러므로 고위 경영진과 이사진이 이 책을 읽고 고객중심 마케팅의 원칙을 이해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이 책은 먼저 공연예술 마케팅에 상대적으로 생소한 사람들, 즉 예술경영 분야에서 경력을 처음 쌓는 학생 등에게 포괄적인 교과서가 될 수 있다. 또한 경험이 좀 있더라도 현재와 잠재적 관객에게 더욱 적절한 마케팅과 커뮤니케이션을 하고 싶은 사람들에게 영감과 도전 정신을 줄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