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정보
패권의 미래 : 미중 전략 경쟁과 새로운 국제 질서
- 저자
- 이승주,전재성,김상배,유인태,김연규,김용신 저
- 출판사
- 21세기북스
- 출판일
- 2022-07-18
- 등록일
- 2022-09-01
- 파일포맷
- EPUB
- 파일크기
- 25MB
- 공급사
- 예스이십사
- 지원기기
-
PC
PHONE
TABLET
웹뷰어
프로그램 수동설치
뷰어프로그램 설치 안내
책소개
미국과 중국의 패권 다툼은 어떤 변화를 가져올 것인가!국내 최고 전문가 6인이 말하는 미중경쟁의 실체국제정치·첨단기술·무역·디지털·자원·안보 등전방위적 극한 대립으로 치닫는 미중 패권 경쟁가열된 경쟁의 본질과 한국의 대응 전략을 말하다!미국과 중국의 패권 경쟁은 비교적 오래된 이슈이다. 그러나 미국과 중국의 패권 전략 변화, 4차 산업혁명으로 표현되는 첨단 기술, 국경을 자유롭게 넘나드는 디지털 세상의 전개 등으로 경쟁은 새로운 양상을 띠게 되었다. 개별 쟁점이 다른 다양한 쟁점들과 연계하는 ‘다차원적 복합 게임’으로 접어든 것이다. 이것은 경제-안보 연계 전략으로 귀결된다.그럼에도 미국과 중국의 대립을 다룬 기존 연구들은 대체로 무역, 환율, 안보, 기술 등 개별 쟁점에 치중하는 경향을 보였다. 패권 경쟁의 변화된 양상을 입체적으로 조망하지 못함으로써 전체적 상을 보는 데 부족했다. 이런 상황에서 『패권의 미래』는 미중 전략 경쟁에 관한 진전된 통찰을 제공하기에 충분하다. 디지털과 첨단 기술, 희소 자원 등 새롭게 확장된 전장의 모습을 상세히 담았으며, 개별 쟁점이 어떻게 연계하여 경제-안보로 통합되는지를 집요하게 추적했다.
저자소개
서울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외교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정치학 석사학위를, 미국 인디애나 대학교에서 국제정치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정보통신정책연구원(KISDI) 책임연구원, 일본 GLOCOM(Center for Global Communications) 객원연구원 등을 역임했고, 현재 서울대학교 정치외교학부 교수이다. 서울대학교 국제문제연구소 연구소장으로 재직 중이며 정보화와 세계화를 국제정치학의 시각에서 연구 및 강의하고 있다. 주요 관심 분야는 ‘정보혁명과 네트워크의 세계정치학’의 시각에서 본 권력 변환과 국가 변환, 중견국 외교와 관련된 이론적 이슈들, 사이버 안보와 디지털 경제, 공공외교의 경험적 이슈, 미래전의 부상 등이다.
논저로는 『네트워크 지식국가: 21세기 세계정치의 변환』(공편 2006), 『IT시대의 디지털외교』(2005), 「한류의 매력과 동아시아 문화 네트워크」(2007), 「정보화시대의 제국: 지식/네트워크 세계정치론의 시각」(2005), 「정보기술과 국제정치이론: 구성적 기술론과 정보세계정치론의 모색」(2003) 등이 있다.
목차
1장 미중 전략 경쟁과 지경학의 국제 정치(이승주) 1. 미중 전략 경쟁: 이슈의 결합 2. 기술 경쟁과 신흥 안보 3. 장의 연계 4. 세계 질서의 변화와 한국2장 신세계 질서와 세계 안보: 미국의 전략(전재성) 1. 무너진 기대 2. 탈냉전기 30년의 세계 질서와 미국 패권 안보 전략 3. 트럼프/바이든 시대의 미 패권 전략과 신세계 질서 4. 미중 안보 경쟁의 심화와 새로운 안보 질서 5. 앞으로의 미중 전략 경쟁3장 신흥 기술 안보와 미중 패권 경쟁(김상배) 1. 다차원적 국력 경쟁 양상 2. 미중 기술 경쟁과 공급망 및 사이버 안보 3. 미중 플랫폼 경쟁과 데이터 안보 4. 미중 첨단 무기 경쟁과 민군 겸용 기술 안보 5. 국가 신흥 기술 안보 전략 수립이 절실4장 미중 무역 전쟁: 트럼프 행정부의 다차원적 복합 게임(이승주) 1. 다차원적 복합 게임 2. 미중 경쟁의 복합 게임 3. 미중 경쟁의 다차원화: 양자·다자 연계와 시스템 경쟁 4. 장의 연계5장 미중 디지털 패권 경쟁과 초국적 데이터 거버넌스(유인태) 1. 데이터의 국경 간 이동에 관한 레짐의 동학 2. 디지털 무역의 국제 정치·경제 연구 3. 초국적 데이터 흐름에 대한 경쟁적 다자주의 이론 4. 특혜 무역 협정을 통한 국가 간 데이터 이동의 레짐 형성 5. 디지털 무역 레짐의 분화 가능성6장 미중 희토류·희소 금속 패권 경쟁(김연규) 1. 첨단 기술 시대의 자원 쟁탈전 2. 희토류, 왜 21세기 최고의 전략 자원인가 3. 희토류를 넘어 희소 금속이 문제이다 4. 자원 발(發) 미중 신냉전 체제 5. EU의 희토류·희소 금속 대응 6. 우리나라의 희토류·희소 금속 대응7장 미중 전략 경쟁하의 중국의 경제-안보 딜레마(김용신) 1. 안보 딜레마 상황이 초래된 맥락 2. 미중 통상 전쟁의 구조적 원인 3. 중국의 산업 정책 4. WTO 내에서 중국의 공격적인 무역 구제 5. 미중 전략 경쟁의 안보 딜레마와 당-정 자본주의로의 전환 6. 중국 당-정 자본주의의 전개 상황참고 문헌주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