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정보
버닝 데이라이트

버닝 데이라이트

저자
잭 런던
출판사
궁리출판
출판일
2011-09-01
등록일
2012-01-05
파일포맷
XML
파일크기
0
공급사
북큐브
지원기기
PC PHONE TABLET 프로그램 수동설치 뷰어프로그램 설치 안내
현황
  • 보유 2
  • 대출 0
  • 예약 0

책소개

긴박감 넘치는 클론다이크의 모험, 자본주의에 대한

신랄한 비판, 자연과 인간에 대한 따뜻한 시선!




이 책은 잭 런던이 글렌엘런 농장에 칩거한 채 농업공동체를 꿈꾸던 시기에 쓴 후기작으로, 낭만적인 이상주의자이자 과학적인 사실주의자, 노동자들의 친구이자 자본주의 정신의 표상으로 상반되게 불리던 잭 런던의 면모가 고스란히 녹아 있다. 1910년 《뉴욕 헤럴드》에 연재되어 대중의 뜨거운 사랑을 받으며 그해 ‘올해의 책’ 중 한 권으로 선정된 책이기도 하다.

이 소설의 주인공은 버닝 데이라이트. 본명은 일럼 하니시다. ‘버닝 데이라이트’라는 별칭은 그가 동료들을 깨울 때 ‘해가 중천에 떴어, 해가 불타고 있다고!(Daylight is burning!)라는 말을 늘상 쓰는 데서 따왔다. 버닝 데이라이트는 ‘증말’ ‘니덜’ 같은 촌스럽고 거친 말투를 즐겨 썼으며, 상상을 초월하는 힘과 재빠른 두뇌, 끈기와 투지, 백발백중의 예감까지 갖춘 ‘슈퍼맨’이었다.

이 작품은 1, 2부로 나뉘어 있으며, 1부는 잭 런던이 즐겨 쓰는 무대인 클론다이크 지역, 2부는 그의 고향이자 말년에 정착하게 되는 샌프란시스코 지역이다. 버닝은 클론다이크 골드러시 기간 동안 남들은 미처 간파하지 못하는 자신만의 육감으로 땅 속 깊이 묻혀 있는 금을 캐내고, 이때 밀가루가 부족할 것에 대비해 이를 사두었다가 되팔아 짭짤한 이익을 남긴다. 그는 알래스카 클론다이크라는 좁은 지역에서 성공을 거둔 후 새로운 모험을 찾아 도시로 떠난다.

버닝 데이라이트는 승부욕이 강한 사람이었다. 자연이나 사람, 도박의 운과 씨름할 때도 마찬가지였다. 삶이든 일이든 모두 게임이었다. 철저한 도박사였다. 하지만 막무가내로 덤벼들지는 않았다. 꾀와 요령과 힘이 있었다. 버닝에게는 언제 어디서 어떻든 행운을 찾게 될 것이고 그 행운의 낙인을 찍어 행운의 주인이 될 것이라는 속삭임. 아주 작은 소리였지만 늘 트럼펫 소리처럼 분명하게 들렸다. 포커를 할 때 그 속삭임은 에이스 네 장과 로열 플러시였다. 광산을 찾았을 때 그 속삭임은 얕은 흙 속의 금, 깊숙한 암석 속의 금, 땅속 곳곳에 묻힌 금이었다. 너무도 위험한 눈길과 강물, 굶주림 속에서 그 속삭임은 남들은 못하지만 그만은 성공하리라고 생각했다.



새로운 환영이 떠올랐다. 자신의 꿈인 융성한 도시가 보였다. 유콘 강 상류 높은 강둑 위 평원을 가로질러 드넓게 펼쳐진 북극지방의 황금 대도시. 기선들이 강둑에 세 줄로 정박해 있는 것이 보였다. 작업 중인 제재용 톱들과 광산으로 물품을 수송하는 썰매가 두 줄로 늘어서 있고, 그 뒤로 개들이 길게 늘어서 있는 것이 보였다. 더 멀리 도박장, 은행, 증권거래소 그리고 여태껏 보았던 것보다 엄청나게 더 큰 도박장의 시설과 현금, 마커들, 행운과 기회가 보였다. … 데이라이트는 몸을 굴려 배에서 내려 기댄 채 얼음 위에 앉았다. 그 대성공에 뛰어들고 싶었다. - 본문 중에서(106쪽)





도시의 흙탕물에서 자신이 경멸하는 인간들과 똑같이 싸우다!



그러나 도시에서 데이라이트는 냉혹하게 사리사욕을 채우는 법을 배우고 점차 자신을 강탈한 사람들과 똑같은 불한당으로 변해간다. 그는 책이라곤 읽어본 적도 없었다. 실제적이고 실용적인 인간이었고 책 읽을 생각은 해본 적도 없었다. 단순하게 살아왔고 인생을 이해하는 데 책은 필요없다고 생각했다.



인생의 기만과 허구를 간파하고 나자 유콘 강에서와 마찬가지로 인생은 단순했다. 사람들이 원하는 것은 모두 똑같았다. 모두 열정과 욕구가 있었다. 재계는 규모가 큰 포커판이었다. 판돈이 있는 사람이라야 낄 수 있었다. 노동자들은 판돈을 모으려고 등골이 빠졌다. 그는 게임의 규칙이 변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고 있었기 때문에 그 게임에 뛰어들었다. 도둑들이 인류의 모든 행위를 헛된 것으로 만들고 혼란에 빠뜨린다는 사실에 충격을 받지 않았다. 그것은 자연의 질서였다. 사실 인간의 노력이란 모두 헛수고였다. - 본문 중에서(202쪽)



그에게 인생은 아무리 잘해봐야 야만 상태와 같은 것이었다. 인간이 서로 약탈하는 것은 고양이가 할퀴고 기근이 옥죄고 추위가 살을 에는 것과 똑같은 일이었다. 결국 데이라이트는 건설 및 개발 사업으로 성공한 자본가가 되었지만 노동자들을 기만하지는 않았다. 그럴 생각이 없었고 그런 일은 도박이 아니라고 생각했다. 노동자들은 너무 쉽고 아둔해서 오히려 농장에서 키운 살진 꿩을 잡는 것보다 더 쉽다고 여겼다. 그에게 게임이란 성공한 약탈자들을 덮쳐 전리품을 빼앗는 것이었다. 흥미롭고 자극적인 게임이었고 어떤 때는 꽤 어려울 때도 있었다. 로빈후드처럼 계속 부자들을 약탈했다. 그런 뒤 필요한 사람들에게 조금씩 나누어주었다.

하지만 얼마 안 있어 가혹하고 야만적인 도시의 게임에서 그는 차츰 변해갔다. 말투는 과격해졌고 신랄하고 신경질적이 되었으며 정신도 그렇게 변했다. 변화는 얼굴에도 나타났다. 주름이 진해지고 눈웃음도 줄었다. 이제 신체적으로도 북극에서 온 강철 같은 근육의 소유자도 아니었다. 운동을 제대로 하지 않았고 늘 과식을 했으며 술도 많이 마셨다. 광대뼈 아래 살짝 패어 있던 뺨이 이제 매워져 있었다. 목둘레가 늘어나 이중턱이 되었다. 심지어 인간적인 교제도 줄어들었다. 같이 일하는 사람들 거의 모두를 무시했고 그들과 공감하지 못했으며 사람들과 아주 동떨어져 혼자서 일을 주로 했다.





이 세상에서 가장 소중한 것을 위해 자신의 전재산 3천만 달러를 던져버리다!



그러다 평소 여자를 두려워하며 구속을 싫어하던 버닝은 자신의 사무실에 근무하는 속기사 디디 메이슨이라는 여자에 시선이 가기 시작한다. 그러나 디디는 거부(巨富)인 버닝이 마냥 부담스럽기만 해 거리를 둔다. 어느 주말 도시와 도시가 돌아가는 방식에 진저리가 난 버닝은 우울하고 지쳐 즉흥적으로 글렌엘런 근처를 찾아가 오랜만에 자연과 벗하게 된다. 그리고 그 산속에서 자신이 노력한 대가를 제대로 받지 못한 사람들이 상처 입은 채 살고 있는 모습을 보고 충격을 받는다. 또한 그곳에서 디디가 말을 타는 모습을 우연히 목격한다. 도시로 돌아온 버닝에게 이 숲속은 자신의 숨통을 트이게 하는 곳이자, 우연을 가장하여 사랑하는 여인을 만날 수 있는 곳이자, 자신이 결국은 돌아가야 할 이상향으로 자리매김한다. 디디는 버닝 데이라이트에게 클론다이크에서 도시에 갓 도착했을 때의 그를 기억하며 그때의 순수함을 잃어버린 지금 모습이 실망스러움을 전한다.

대공황이 찾아와 자신의 여러 회사가 흔들리면서 어려워지자, 가차없이 비용을 삭감하는 등 여태까지 볼 수 없었던 비정한 모습마저 보인다. 곧 도시 개발의 이익이 그에게 돌아와 전화위복이 되었지만, 그는 늘 무언가 허전했으며, 그럴 때면 자신이 주말마다 찾아가는 글렌엘런 숲속에서 평온함을 되찾곤 했다. 결국 디디는 버닝이 자신의 전재산 3천만 달러를 유용하게 쓴다면, 함께 글렌엘런으로 들어가 살 것임을 약속한다.



이 작품은 클론다이크의 모험을 이야기할 때는 『야성이 부르는 소리』를, 자본주의에 대해 신랄하게 비판할 때는 『강철군화』를, 계급이 다른 이성의 사랑을 이야기할 때는 『마틴 이든』의 요소요소를 한데 모아놓은 것 같다. 그런 만큼 읽는 재미도 다양하다. 약육강식과 생존경쟁 등을 신봉하던 인물이 후반부에 자연과 교감하며 진정 사랑하는 여인을 만나 급작스럽게 변모하는 모습에서 설득력이 약간 떨어지기는 하지만, 긴장감 넘치는 카드판에서의 도박 부분에서는 오락영화를, 사방이 얼음인 혹한을 개썰매로 달리는 그의 모습에서는 스펙터클한 다큐멘터리를, 그가 꿈꾸는 도시의 풍경은 대규모 개발현장을 보여주는 3차원 입체 영상처럼 황홀하며 두 사람의 사랑의 줄다리기는 로맨틱 코미디를 보는 듯하다. 돈에 대한 욕심이나 경쟁에서 이기고자 하는 욕망이 그 어느때보다도 하늘을 찌르는 요즘, 100년 전 자본주의와 야생과 문명에 대해 통찰하며 겪었던 버닝 데이라이트의 다양한 인생 경험은 지금 읽어도 흥미진진하다.

QUICKSERVICE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