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정보
금강길 이야기길
- 저자
- 최수경
- 출판사
- 이담Books
- 출판일
- 2014-09-18
- 등록일
- 2014-09-25
- 파일포맷
- EPUB
- 파일크기
- 0
- 공급사
- 북큐브
- 지원기기
-
PC
PHONE
TABLET
프로그램 수동설치
뷰어프로그램 설치 안내
책소개
금강길과 도보 여행자를 이어주는 녹색여행 가이드
체험교육 전문가가 추천하는 금강 유역 녹색여행 가이드. 대전충남녹색연합 공동 대표이기도 한 저자 최수경이 그간 환경체험프로그램을 직접 기획하고 진행하면서 쌓은 노하우를 한 권에 담았다. 이 책에는 금강의 역사와 문화, 생태와 환경까지 금강길에 얽힌 모든 이야기가 있다. 강을 통해 자연과 환경의 가치를 깨닫는 ‘녹색여행’은 잠깐의 일상 탈출을 넘어서는 배움의 재미를 알려 줄 것이다. 생생한 체험을 바탕으로 한 꼼꼼하고 친절한 가이드는 도보 여행 마니아나 자녀와 함께 체험교육을 하려는 부모들에게도 유용하다.
장수에서 서천까지, 금강길 따라 이어지는 특별한 녹색여행
『금강길 이야기길』은 금강 유역의 마을을 중심으로 총 15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장수, 진안, 무주, 금산 등 주요 마을들을 거닐다 보면 진정한 도보여행의 재미를 느낄 수 있다. 잠깐의 일상 탈출이나 휴식을 위한 여행보다는 자연에 관심을 갖고 가치를 깨닫는 여행이 긴 여운을 남겨줄 것이다. 사람들의 이야기가 스민 길에서 그들의 삶을 들여다보고 강에 애정을 갖는 녹색여행은 저자가 이 책을 쓴 목적이기도 하다.
체험교육을 위한 금강유역 상세 정보를 한 권에 담았다!
저자는 환경을 지키는 다양한 활동을 하면서 금강길을 수차례 체험했다. 이러한 경험으로 체득한 금강길 녹색여행 노하우는 금강길을 처음 방문하는 이들에게도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금강’이라는 하나의 강을 토대로 이 책만큼 상세하게 설명한 책은 없다. 금강 유역의 산이나 기묘한 바윗돌 위에는 어김 없이 정자가 자리하고 있다. 구선대, 봉황대, 함벽정, 한천정, 일성대 등 금강의 절경을 이어진 정자를 방문해보면 꾸미지 않은 자연의 아름다움을 엿볼 수 있다. 아울러 자연과 어울리는 겸손함을 배우게 될 것이다.
저자소개
최수경
대전 출생. 대전충남녹색연합 공동대표. 환경부 환경홍보강사단. 대학에서 가정교육을, 대학원에서 환경과학을 전공했으며, 공주대 환경교육 박사과정에 있다. 체험 중심의 자녀교육을 하면서 대전의 자연환경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 현재 환경단체에서 환경해설과 자연체험프로그램의 기획과 진행을 하고있으며, 금강유역권에서 환경과 금강에 관련된 다양한 활동을 하고 있다. 금강유역의 인문자연환경을 결합한 환경교육프로그램인 금강트래킹을 기획하여 지역에서 많은 호응을 얻고 있다. 금강유역의 교육적 자원 발굴을 위해 하천답사를 하고 있으며, 체험교육과 생물종 보전을 위한 기고와 칼럼 등을 쓴다.
목차
머리말
제1장 장수
산줄기.물줄기 이야기 | 한 물을 먹고사는 한 동네 이야기 | 물이 긴 장수 | 물뿌랭이마을과 수분공소 | 뜬봉샘 | 강태등골 하산길 | 금강사랑물체험관 | 장수읍에서 천천면까지 | 천천면을 흐르는 천천천 | 하늘내들꽃마을 | 평지마을 | 신기마을
제2장 진안
진안 그리고 가막리 | 여울에서는 자연에 순응해야 한다 | 여울트레킹의 힘 | 자연이 살아 있는 죽도길 | 항상 열리지 않는 죽도의 여울길 | 사연 많은 죽도 | 용담댐 | 섬바위에서 감동마을길
제3장 무주
무수생태관광, 덕유산 중심에서 이제는 금강으로 | 무주마실길 | 유평마을과 덤덜 | 대소마을과 토끼벼리길 | 무주마실길의 백미 잠두마을길 | 금강이 요대를 닮은 외요대길에서 용포교까지 | 다시 햇빛을 본 서면나루길 | 금강의 레저시설 | 한 많은 내도리 | 뒷섬주민들의 안전한 학교길 | 뒷섬
제4장 금산
금강은 환경교육의 장 | 농원방우리 들어가는 세 가지 길 | 방우리의 역사 | 방우리 습지 | 방우리 지렛여울 | 오감으로 느끼기 | 적벽의 엇여울 | 여울 | 금강의 다른 이름 적벽강 | 수통마을 | 도파마을 | 천내리의 지형 | 천내리의 역사 | 천내리 트레킹 | 금강 상류 최대의 천내습지 | 여울건너 용화리까지
제5장 영동
영동 감입곡류의 시작 | 호탄습지 | 호탄여울 | 비단강숲마을 | 정자가 많은 영동의 강가 | 신라가요 양산가 | 송호유원지 | 양산가 속의 자라벌 | 죽청교에서 기호리까지 | 난계의 고장 | 심천의 지몽골습지
제6장 옥천
지탄역과 대전역 반짝 시장 | 경부고속도로 금강휴게소 | 높은 벼루 고당리 | 합금리의 금강 | 청마리와 돌탑 | 옥천의 흙길 | 로드 킬 | 가시박의 공격 | 가덕교 아래 여울 | 지수리와 도랑 살리기 | 종미리 미산마을 | 연주리 배바우마을 | 제비와 동거하는 우체국 | 금강이 한반도를 그리는 둔주봉 | 피실나루에서 독락정으로 | 강가에 보리밭이 있었던 막지리 | 장치고 간다는 것은 | 대청호 최대수몰지역 군북면 용호리 | 추소리 부소담악
제7장 보은
은운리 가는 길의 답양리 | 은운리 마을에서 가산천을 따라 | 우리나라 대표적 오지마을 을메기마을 | 분저실마을
제8장 청원
소전리 가는 길 | 소전리 벌랏마을 | 호반길을 따라 후곡리로 | 블루길과 베스 | 수몰된 가호리 | 대청호로 흘러드는 맑은 하천들| 구석기유적지 청원 두루봉동굴 | 각종 규제로 시름하던 문의 | 청남대 대통령길
제9장 대전
대청호둘레길 | 추동길 | 마산동길 | 직동길 | 핏골 찬샘마을 | 대전은 산성의 도시 | 황호동의 나무할아버지 | 이현동에서 미호동까지 | 대청댐 | 금강 로하스길 | 새여울에서 금강철교까지 | 갑천합류점 맹꽁이공원 | 금탄동 쇠여울 | 쇠여울 임도
제10장 연기
범선의 종착지 부강나루 | 금강 최대 지류하천 미호천 | 세종시가 품은 금강내륙 철새도래지 합강습지 | 하천둔치 농경에서 친수공간으로 | 독락정
제11장 공주
공주의 강길 | 조망 좋은 연미산 | 백제의 도읍 웅진 | 금강둔치공원 | 등록문화재 금강철교 | 공산성 한 바퀴 | 곰나루
제12장 청양
왕진나루 | 원왕진마을 | 왕진교 아래 저석습지 | 백제보
제13장 부여
백제설화 속 제상을 뽑던 천정대 | 호암리 백사장 | 갈대가 풍성했던 신리 길 | 부소산성 | 사비시대의 백제와 금강 | 백제의 멸망과 부흥 | 왕흥사지 터 | 대제각과 부산 | 백제대교 | 수북정과 자온대 | 규암나루터 | 금강의 회유성 물고기들 | 둔치농경이 친수공간으로
제14장 강경
금강수운의 중심지 강경 | 강경읍내 근대문화유산을 찾아서 | 강경역 | 강경상고, 강경상고 관사 | 강경초등학교 강당 | 남일당한약방 | 구 한일은행 강경지점 | 강경노동조합건물 | 강경젓갈시장 | 옥녀봉 | 강경침례교회 | 북옥감리교회 | 강경포등대
제15장 익산
금강의 자전거도로 | 나바위성당 | 익산둘레길 | 조세를 관리하던 성당창 | 성당리마을 | 성당마을 뒷산에서 웅포대교까지
제16장 서천
신성리갈대밭 | 갈대의 위력 | 금강하굿둑 전과 후 | 강길 따라 이어진 강촌마을 | 어메니티 서천을 방해하는 것들
제17장 군산
십자뜰과 가창오리 탐조 | 전 세계 99.9%의 가창오리가 우리나라로 | 군산 구불길 | 금강하굿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