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창의적인 Problem solving을 통한
신뢰받는 PROBLEM-SOLVER
정답은 찾는 것이 아니라 만드는 것이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가장 중요한 것이 무엇일까? 여러 가지가 있겠지만 ‘문제는 반드시 해결된다’는 마음의 태도가 가장 중요하다. 보통 ‘문제해결’이라고 하면 회사의 새로운 프로젝트, 전직이나 이직 등 큰 문제들을 생각하는 경우가 많은데, 사실은 그렇지 않다. 오늘 점심은 무엇을 먹을까 하는 문제도 우리에게 닥친 문제라고 볼 수 있다. 이처럼 우리의 생활 자체가 바로 문제해결의 과정인 것이다. 그래서 현명하게 문제를 접하고 효과적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때 문제를 바로 ‘종이에 적는 것’이 필요하다. 즉, 생각의 결과를 종이에 적는 것이 아니라 생각 자체를 종이에 적으며 시작하는 것이다. 생각을 시각화하여 진행하는 것이다. 이렇게 자신의 생각을 눈으로 보며 생각하는 방법은 매우 효과적인 생각정리의 기술이다.
이 책에서는 내용들을 가급적 시각적으로 표현하고 있다. 그래서 본문의 중간중간에 그림들이 많다. 이것은 생각을 시각화하며 진행하는 것이 글을 쓰는 사람만이 아닌, 글을 읽는 독자들에게도 도움을 주기 때문이다. 복잡한 생각들을 종이에 적으며 눈으로 보면서 생각하다 보면 어디선가에서 찾아오는 새로운 아이디어들을 만나게 될 것이다.
문제를 잘 해결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능력이 필요하다. 문제를 분석하고 해석할 수 있는 능력, 상황에 적절한 아이디어를 만드는 능력, 때로는 다른 사람과 원활하게 소통하는 능력, 문제가 해결될 것이라고 믿고 도전하는 능력 등 다양한 능력이 필요하다.
이 책에서는 창의적인 문제의 발견, 아이디어를 비판하는 것만이 아닌 새로운 아이디어를 제시할 수 있는 능력, 다양한 아이디어 발상기법, 문제해결에 대한 자신감 등 문제해결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높일 수 있다.
그럼, 이제 다양한 문제해결자의 조건을 문제해결의 ‘마인드’와 ‘프로세스’ 그리고 ‘스킬’이라는 관점에서 살펴보도록 하자.
새로운 제안
서울시 영등포구 선유로3길 10 하우스디비즈 708호 새로운 제안 www.jean.co.kr
전화 2238-9740 팩스 2238-9743 담당 백광석 팀장(webmaster@jean.co.kr), 010-8764-0784
〈문제해결자의 9가지 능력〉
1 문제를 반드시 해결하겠다는 의지를 갖는다
2 분석적인 사고와 창의적인 사고를 한다
3 사실을 근거로 생각한다
4 다양한 시각으로 바라본다
5 가설을 세우고 검증을 해본다
6 감정의 늪에 빠지지 않는다
7 문제해결의 중심에는 소통이 있다
8 원하는 결과를 명확하게 그려본다
9 실패를 두려워하지 않고 도전한다
저자소개
유경철 _ pkm297xo@naver.com
사람들의 변화와 성장을 돕는 컨설턴트로서 기업과 공공기관 등에서 컨설팅과 강의를 하고 있다. PSI컨설팅, 한국능률협회컨설팅, 코오롱베니트 인재개발팀, 에이치앤피컴퍼니 전임교수로 근무했으며, 현재는 교육 컨설팅회사인 〈소통과 공감〉 대표로 있다.
한국외국어대학교를 졸업하고 고려대학교에서 경영학 석사를 마쳤다. 자신의 변화와 성장에 관심 있는 160만 명 이상의 사람들이 찾아온 ‘HRD Professional’이라는 블로그에 수년째 글을 써오고 있다. 2015년 HRD대상 명강사 대상(한국HRD협회)을 수상하기도 했으며, 저서로는 〈피터드러커의 인재경영 현실로 리트윗하다〉가 있다.
현재 삼성전자, 현대자동차, SK그룹, LG화학, SK텔레콤, 삼성화재, 제일기획, LG디스플레이, 중앙공무원교육원, 서울시인재개발원, 중앙교육연수원, 서울대학교 등 다수의 국내 주요 기업과 공공기관에서 활발하게 강의를 하고 있다.
박종하
mathian@daum.net
창의성과 문제해결, 변화ㆍ혁신ㆍ아이디어 등과 관련한 글을 쓰고 강의를 하고 있다. 삼성전자, PSI컨설팅, 이언그룹 등에서 일을 했으며, 현재는 〈박종하창의력연구소〉를 운영하고 있다.
고려대학교 수학교육과를 졸업하고 한국과학기술원(KAIST)에서 수학과 석사와 박사 학위를 받았다. 저서로는 〈아이디어 요리하는 아이디어〉 〈수학, 생각의 기술〉 〈틀을 깨라〉 등이 있다.
목차
머리말
프롤로그 / 유능한 문제해결자의 조건
제1부 문제해결자의 9가지 능력
01 문제를 반드시 해결하겠다는 의지를 갖는다
02 분석적인 사고와 창의적인 사고를 한다
03 사실을 근거로 생각한다
04 다양한 시각으로 바라본다
05 가설을 세우고 검증을 해본다
06 감정의 늪에 빠지지 않는다
07 문제해결의 중심에는 소통이 있다
08 원하는 결과를 명확하게 그려본다
09 실패를 두려워하지 않고 도전한다
제2부 문제해결의 5단계 프로세스
Step_1 문제를 분명하게 정의한다
01 문제의 본질은 ‘차이’를 확인하는 것이다
02 문제진술문으로 문제를 발견한다
03 MECE로 누락과 중복을 없앤다
04 Logic tree로 논리적으로 정리한다
Step 2 원인을 찾아 개선영역을 확인한다
01 5why 기법으로 근본원인을 찾는다
02 특성요인도로 잠재적 원인을 찾는다
Step 3 다양한 방법으로 아이디어를 모은다
01 아이디어 발상 툴을 활용한다
02 브레인스토밍 - 많은 아이디어
03 브레인라이팅 - 자유로운 아이디어
04 원더링 플립차트 - 유연한 아이디어
05 스캠퍼 - 다양한 아이디어
06 만다라트 - 확장된 아이디어
07 랜덤워드 - 참신한 아이디어
08 강제결합법
Step 4 발굴한 아이디어에서 최적안을 찾는다
01 멀티보팅 - 아이디어 압축
02 손가락 투표 - 빠른 아이디어 선정
03 매트릭스기법 - 효과적인 아이디어 선정
04 스코어카드 - 점수로 아이디어 선정
05 동의단계자 - 신중한 아이디어 선정
Step 5 실행계획을 세워 구체적으로 실천한다
01 실행계획을 수립한다
02 의사소통계획을 수립한다
03 계획 진행에 따른 리스크를 관리한다
04 실행계획을 꾸준히 모니터링한다
제3부 문제해결자가 생각해야 할 것들
01 정답이 없는 문제들
02 문제를 발견하는 사람 vs 문제를 해결하는 사람
03 문제해결을 위한 창의성의 바퀴
04 팀워크를 통해 문제를 해결하자
05 문제해결과 긍정 그리고 상승효과
에필로그 창의적인 아이디어와 감성적인 소통과 공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