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24년간의 보건의료 실무경력을 바탕으로 체계적 이론 설명과 과학성에 근거한 개발 역량을 키울 수 있도록 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보건교육사 1,2,3급을 준비하는 수험생과 학부생, 대학원생과 보건프로그램을 개발·평가하고 수행하는 보건의료인들을 위한 교재이다.
목차
머리말
제1장 프로그램의 이해
제1절 건강의 개념 이해
제2절 보건교육사의 이해와 역할
제3절 보건교육사 양성제도
제4절 보건프로그램
주관식 문제
제2장 프로그램의 기본개념
제1절 프로그램의 의의와 특성
제2절 보건프로그램 기획의 필요성
제3절 보건프로그램의 유형
주관식 문제
제3장 문제분석
제1절 문제분석
제2절 SWOT 분석
제3절 우선순위 결정
제4절 요구사정 방법
제5절 목표설정
제6절 실행계획
주관식 문제
제4장 건강증진 행위이론
제1절 건강증진 행위이론
제2절 터너힐(Tannahill) 모형
제3절 건강신념 모형
제4절 건강증진 모형
제5절 합리적 행위이론
제6절 계획된 행위이론
제7절 범이론적(Trans theoretical model) 모형
제5장 건강행위 및 행위변화
제1절 건강행위이론 및 행위변화 방법
제2절 기획의 과정
주관식 문제
제6장 요구도 진단
제1절 요구도 진단과 자료수집 방법
주관식 문제
제7장 프로그램의 기획
제1절 기획개념,우선순위 결정,목적과 목표달성,
시장세분화와 표적집단 결정,전략개발,실행계획 수립
제2절 우선순위(Priority)
제3절 우선순위 결정기준
제4절 우선순위 결정과정
제5절 우선순위 결정 시 유의사항
제8장 목적과 목표달성
제1절 프로그램 계획
제9장 프로그램 설계
제1절 설계방법
요약정리
주관식 문제
제10장 프로그램 평가의 이해
제1절 보건프로그램 평가의 개념,목적
제2절 보건프로그램의 평가모형
요약정리
제11장 프로그램 평가방법
제1절 프로그램 평가
요약정리
주관식 문제
제12장 보건교육 관련 보건의약 관계법규
제1절 국민건가증진법
제2절 지역보건법
제3절 농어촌 등 보건의료를 위한 특별조치법
제4절 학교보건법
제5절 산업안전보건법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