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정보
한국현대여성의 일상문화 2 - 미용

한국현대여성의 일상문화 2 - 미용

저자
이화형 외
출판사
국학자료원
출판일
2011-11-04
등록일
2013-02-15
파일포맷
EPUB
파일크기
11MB
공급사
예스이십사
지원기기
PC PHONE TABLET 웹뷰어 프로그램 수동설치 뷰어프로그램 설치 안내
현황
  • 보유 2
  • 대출 0
  • 예약 0

책소개

그동안 여성지가 여성 연구의 보고라 여기면서도 접근의 어려움 때문에 개인으로서는 감히 연구할 엄두조차 내지 못하던 것을 본 연구팀에서 원본을 구하고 훼손된 부분까지 어렵게 확인한 후 일일이 타이핑하고 수차례의 원본대조작업을 거치는 힘든 과정을 거쳐 출간하게 된 것이다. 일단 수집된 자료를 읽으면서 여성의 일상적 삶과 가장 밀접한 관계가 있는 연애와 결혼, 미용과 복식, 자녀교육과 여가, 가정생활과 가정위생 등의 영역으로 분류하였다. 이 영역들은 여성들의 일상문화에서 매우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여성들의 정치 사회 운동이나 사상, 교육 등의 영역보다 소홀하게 다루어졌는데 이는 뛰어난 자취를 남긴 신여성이나 몇몇의 위대한 인물에 사회적 관심과 연구의 초점이 맞추어졌던 것과 관련해 볼 수 있다. 일상성은 생활과 그 주체인 인간을 강조하는 관점이며 소수의 비범한 사람 대신 다수의 보통사람의 상식적인 삶을 중시하는 관점이라는 점에서 주목된다. 또한 연구자의 이론이 아니라 생활주체의 경험세계를 중시하고 그들의 삶을 역동적으로 파악한다는 점에서도 의미가 있다. 이러한 일상의 영역에 대한 인식을 바탕으로 한 이 자료집은 남성중심의 역사에서 소외되었던 여성을 역사의 주체로 복원시키고 기존의 거대담론에 의해 가려졌던 여성의 일상문화 영역의 중요성을 확인하고자 하는 것이다. 앞으로 이 자료집이 여성연구에 튼실한 토대가 되어 관련 분야의 전공자뿐 아니라 일반인들의 접근을 용이하게 함으로써 학계에 활력을 불어넣는 것은 물론 여성문화에 대한 전반적인 관심을 높이는 데 기여할 것이라 믿으며 연구성과를 널리 개방하고자 한다. 이 자료들을 바탕으로 여성의 일상문화를 재구성하는 작업을 통해 한편으로는 당시의 남성중심적 사회에서 여성의 소외된 삶을 보여줌과 동시에 그렇게 왜곡된 사회 속에서도 꿋꿋하게 살아나간 여성들의 적극적인 삶도 보여줄 것이다. 이는 나아가 한국 근현대사의 왜곡되고 굴절된 여성의 존재가치를 재평가하는 데도 중요한 의의가 있다고 본다.

연관도서 연관도서를 소개해드립니다!
저자동일
함께 대출한 도서

    이 책을 대출한 회원이 함께 대출한 컨텐츠가 없습니다.

QUICKSERVICE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