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 <이야기 주제를 다루는 7가지 방법>에 대하여
오늘날의 이야기는 비단 소설이나 영화, 드라마, 동화, 만화에만 국한되지 않으며 각종 캠페인을 벌이거나 개인의 소식을 알리는데도 활용됩니다. 관심과 흥미를 유발하여 재미와 감동, 위안과 만족을 주고, 기대를 불러일으키고, 소비를 창출하고, 비전을 제시하고, 프로모션으로써 홍보하고, 삶에 도움과 교훈을 주는 일이기도 합니다. <이야기 주제를 다루는 7가지 방법)은 각자가 지닌 주제를 어떠한 전략과 사고와 체계를 가지고 벌여야 하는지 바람직하고 성공적인 전략과 방법들을 다루고 있습니다. 소설 영화 드라마 만화 다큐멘터리 교양프로그램 등 창작 문화예술 분야는 물론, 다방면에 활용할 수 있도록 기획되었습니다.
목차
○ Contents
1. 현실적인 공감대 (희망과 위안) : 괴로운 현실에 대한 위안 / 현실성과 공감의 관계 / 트렌드를 타거나 만들거나 / 폭넓은 공감 꾸준한 수요 / 친숙한 요소 참신한 구성 / 세련된 표현 (예술적 기교) / 본보기와 판타지로서 희망
2. 비현실적인 판타지 (현실도피) : 현실에서 벗어난 이야기 / 황당무계를 다루는 3가지 방법 / 비현실적 판타지가 효과적일 때 / 가정으로 공약처럼 벌이기 / 현실 속 판타지 이벤트 마련하기 / 중독되는 가상의 판타지 / 판타지 그리고 다음은?
3. 고발하는 이야기 (공분유발) : 왜 이야기로 고발하는가? / 무엇을 고발하는가? / 어떻게 고발할 것인가? / 선정성 vs 주제의식 / 진실 vs 공감 / 실화 혹은 실화적 모티브 / 바람직한 해결 vs 공분과 좌절
4. 호기심과 궁금증 (꼬시기와 지적 만족) : 새롭거나 늘 궁금한 것 / 호기심이라는 미끼 / 궁금증 유발의 조건과 상황 / 낚아올리기 위한 조건 / 밀고 당기는 예술적 기교 / 호기심과 궁금증으로 일관하기 / 미끼는 주제라는 본질을 위한 것
5. 정의로운 비전 (이상의 제시) : 좋은 것 나쁜 것의 구분 / 무엇을 좋다 나쁘다 할 것인가? / 좋은 것 나쁜 것 모두를 다룬다 / 어떻게 좋다 나쁘다를 다룰 것인가? / 정의가 무너지는 이야기 / 정의가 바로서는 이야기
6. 욕망에 충실하게 (가식파괴) : 해라 마라 하지 마라 / 저마다의 성격과 욕망에 충실할 것 / 주제에 반하는 짜증나는 것들 / 짜증나는 것들을 날려 버린다 / 잔소리가 되지 않게 말하기 / 더 이상 고민하지 말고 행동으로 / 그래도 멋대로 하지 못하는 것
7. 패러다임의 확장 (상상력) : 흥미로운 테마의 활용과 집중 / 활용가능한 최대치 / 주제에 대한 역설, 혹은 직설 / 형식파괴와 새로운 장르 / 냉탕과 온탕으로 온도차 / 친숙한 테마에 대한 엽기성 / 상식에 대한 전복, 극단적 표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