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평범한 다수가 탁월한 소수보다 현명하다!
치열하게 '인재전쟁'을 치르는 기업에게 이 말은 아주 이상하게 들릴 것이다. 그런데 다음과 같은 실험에 주목해보자. 현명한 사람들로만 구성된 집단과 그렇지 않은 사람들이 무작위로 섞여 있는 두 집단 중 어느 집단이 통계적으로 좋은 결과를 내놓을까? 결과는 현명한 사람들로만 구성된 집단보다 그렇지 않은 집단이 좋은 결과를 낸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미국에서 화제를 일으킨 <대중의 지혜>는 무작위로 선정한 구성원으로 이루어진 집단이 많은 돈을 들여 현명한 사람들만 뽑아 놓은 집단보다 문제 해결 능력이 더 낫다는 것을 증명해 보임으로써 그동안의 기존 관념을 송두리째 뒤바꿔놓는다. 우리는 최고의 인재들이 일하기 때문에 회사가 두각을 나타낸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우리는 전문성의 가치를 과대평가하고 있다. 전문성의 비밀은 그 범위가 '놀라울 정도로 좁다'는 데 있다. 따라서 특히 불확실한 미래를 예측하고 미래에 대한 최상의 행동 방향을 계획하는 일은 다양한 개인으로 구성된 큰 집단이 우수하고 안정적인 예측 결과를 내놓는다.
저자는 전문가의 지식보다 대중의 지혜를 신뢰하라고 주장한다. 가장 좋은 답을 가장 자주 내놓기 때문이다. 처음부터 끝까지 아주 흥미진진한 이 책은 '불안정한 개인 VS 지혜로운 대중'을 비교분석하면서 세상을 이끄는 힘에 대한 심오한 분석을 내놓고 있다.
목차
*이야기를 시작하며
놀랍도록 정확했던 군중의 판단
답은 천재가 아닌 대중의 손에 있다
용어의 정의: '대중'의 의미
이 책의 내용과 구조
'대중의 지혜'를 활용한 사례
1부| '대중의 지혜' 알아보기
01.인지문제: 대중은 답을 알고 있다
개인과 집단
주식시장: 챌린저 호 사고 책임을 알아내다
스포츠 도박: 완벽에 가까운 승률 예측
구글: 수많은 웹 페이지의 지혜
의사결정 시장: 선거와 영화흥행 결과 예측
02.지혜로운 대중의 조건 1: 다양성
여러 개 중에 선택한다
다양성은 그 자체로 가치가 있다
똑같은 전문가 vs 다양한 집단
집단사고의 덫: 다양성이 결여된 집단의 위험성
03.지혜로운 대중의 조건 2: 독립성
개인의 독립성이 집단에서 중요한 이유
사람들은 독립성보다 안전한 것을 선호한다
독립성을 방해하는 정보연쇄파급효과
모방할 때도 독립성은 중요하다
순차적 요소를 제거하라
04.지혜로운 대중의 조건 3: 분산화와 통합
9.11 테러로 드러난 미 정보 조직의 맹점
분산화의 의미와 특징
분산화와 통합의 성공적 조화: 리눅스
분산된 정보를 통합하는 메커니즘이 관건
05.조정문제: 복잡한 세상만사 조율해 나가기
자율적으로 조정하는 개인들
조정문제의 해결 방법: 문화 또는 관행
이상한 관행: 극장의 가격 조정
자율적 조정의 산물: 시장
06.협조문제: 어려운, 그러나 꼭 필요한
협조와 신뢰의 부재로 나타나는 현상
친사회성이 협조를 유발한다
협조하는 편이 더 낫기 때문에 협조한다
비인격적 신뢰 '자본주의'
신뢰의 실패는 '부패'
공동선을 위한 협조문제: 세금
2부 '대중의 지혜' 적용하기
07.자율의 한계와 조정의 필요성: 교통 정체 문제
혼잡통행료 부과하기
정체의 원인은 조정되지 않은 다양성
자율적 조정이 안 될 때 규칙이 필요하다
08.협력과 경쟁의 하모니: 과학계
개인이 모든 것을 알 수는 없다
경쟁자=협력자인 세계
과학적 진리에 영향을 미치는 평판
09.'대중의 지혜'와 소집단의 함정
소집단은 '군중'과 다르다
실패하는 소집단은 '믿고 싶은 것만 믿는다'
실패하는 소집단은 '소수 의견을 무시한다'
실패하는 소집단은 '편향된 사고를 한다'
성공적인 소집단 운영을 위하여
10.상사가 바뀌어도 변화는 없다?: 회사의 법칙
신속하게 자기 조정하는 기업 '자라'
회사 경영 방식: 갱 영화식 분류
수직적 기업은 조정 기능이 없다
수직적 기업은 거짓말쟁이를 만들어낸다
CEO 개인은 답을 주지 못한다
의사결정 시장에 의존하라
11.가장 지혜로운 동시에 가장 어리석은 대중: 주식시장
공매자는 범죄자인가?
비합리적인 개인, 그러나 합리적인 집단
모두 같은 생각을 하면 시장은 붕괴한다: LTCM의 사례
거품의 원인: 타인의존적 사고
숨겨진 거품의 원인: 정보가 많으면 좋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