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무의식에 감춰진 에로스의 욕망
꿈과 현실을 넘나드는 세기말의 판타지
인간의 내면을 심리적으로 탁월하게 해부하는 작품들로 프로이트의 경탄을 자아낸 오스트리아 작가 아르투어 슈니츨러의 대표작. 폰 호프만슈탈, 리하르트 베어호프만 등과 함께 세기말 빈의 모더니즘 형성에 기여한 대표 작가로 꼽히는 그는 작품을 통해 19세기 말의 불안과 20세기 초 가치관의 붕괴로 인해 혼란스러워하는 인간 내면을 통찰한다. 작품 속에서 당시 시민사회의 터부인 죽음, 섹슈얼리티, 애욕적인 삶의 복잡함, 삶에 대한 거짓된 환상에서 오는 병적인 정신세계를 보여주면서 인간의 심리를 파헤치는 동시에 시민계급의 정신생활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의 모습을 해부하는 것.
「카사노바의 귀향」은 불멸의 남성성을 대변하는 실존 인물 카사노바의 노년을 재구성한 작품이다. 세상을 돌아다니며 여성 편력을 자랑하고 모험을 펼치던 신화적 주인공 카사노바가 옛 친구 올리보의 조카딸 마르콜리나의 사랑을 얻고자 젊고 매력적인 남자 로렌치로 변장하고 마르콜리나와 성적 합일을 이루는 사기극을 벌이는 내용으로, 카사노바가 정체성을 상실해가는 과정을 심리학적으로 밀도 높게 그려냈다.
「꿈의 노벨레」는 모범적이고 행복해 보이는 부부의 감춰진 성적 욕망을 성찰한 작품으로, 스탠리 큐브릭 감독이 연출한 영화 〈아이즈 와이드 셧〉의 원작으로도 유명하다. 남편 프리돌린이 겪는 꿈같은 현실과, 아내 알베르티네의 현실 같은 꿈이 각각 정점을 향해 치닫는 이중 구조로 이루어진 이 작품은 겉으로는 화목해 보이는 가정 안에서 남편과 아내의 내밀한 심리적 위기를 각자의 이야기를 통해 보여준다.
저자소개
1862년 오스트리아 빈의 상류사회에서 태어나 몇 번의 여행을 제외하고는 평생 빈을 떠나지 않았다. 의사인 아버지의 영향으로 의학을 공부하고 병원까지 개업했으나 결국 의사의 길을 버리고 극작가와 소설가로서 생애를 마감하였다. 그는 작가로서 성공하여 경제적인 부와 명성을 얻기도 했지만 도박과 낭비로 어려움을 자초하기를 수차례나 반복했고, 젊은 시절 그의 여성 편력은 카사노바의 환락과 모험을 옮겨놓은 것 같았다. 한 사람의 실존인물이라고 하기에는 너무나 낯선 또는 병적인 그의 삶은 그가 14세 때부터 죽는 날까지 55년 동안, 처음 6년을 제외하면 하루도 빠짐없이 기록한 일기에 담겨 있다.
슈니츨러는 1900년을 전후로 호프만스탈과 함께 오스트리아 ‘빈 모더니즘’을 대표하던 작가다. 활동 당시 그는 그의 작품이 “문학 작품이라기보다는 병원 검사 기록에 가깝다”는 비판을 자주 들었다. 이는 무엇보다도 슈니츨러가 인간 심리를 마치 의사가 환자의 증상을 진찰하듯 지극히 분석적인 시선으로 관찰하고 그 결과를 작품으로 재구성했기 때문이다.
슈니츨러의 작품이 병원 검사 기록에 가깝다는 비판을 들은 것은 실제로 그가 의사이기 때문이기도 했다. 그는 1862년 당시 빈의 저명한 후두과 의사인 요한 슈니츨러의 아들로 태어났다. 성대 문제로 아버지를 자주 찾아오던 연극배우들을 통해 슈니츨러는 일찍부터 문학에 뜻을 두었다. 그러나 아버지의 완고한 반대로 뜻을 펼치지 못했고, 결국 빈 의대에 들어가 의학을 전공했다. 그러나 그의 마음은 언제나 문학에 가 있었고, 의사로 일하던 시기에도 헤르만 바르, 후고 폰 호프만스탈, 페터 알텐베르크 등 빈 모더니즘 작가들과 교류했으며, 여러 편의 희곡과 단편 소설도 발표했다.
그러나 대학에서의 의학 공부는 슈니츨러의 정신세계에 중대한 영향을 미쳤다. 당시 빈 의대는 모든 병의 원인을 물리적, 화학적 원인에서 찾는 유물론적 의학이 주도했다. 슈니츨러는 의학 공부를 통해 인간을 자유의지나 신의 뜻에 따라 움직이는 존재가 아니라 자연 법칙의 영향권 안에 있는 생물학적, 물질적 존재로 바라보는 데 익숙해졌다. 물론 이러한 인간관은 근본적으로는 19세기 중반 이후 눈부시게 발전한 자연 과학의 영향과 관계가 깊다.
슈니츨러는 오늘날 독일어권 어문교육의 필독서인 『꿈의 노벨레』, 『엘제 아씨』, 『구스틀 소위』 외에도 『어둠에로의 도피』, 『카사노바의 귀향』, 『회색빛 아침 속의 게임』 등 소설 60여 편과 희곡 30여 편, 작품 노트 잠언록 자서전 일기 등을 남겼다. 바우어른펠트 문학상, 그릴파르처 문학상 등을 수상했다. 1931년 10월 빈에서 뇌출혈로 사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