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1900년대 초의 어느 날. 북경에서 그는 고물상 폐지 묶음 속에서 '삼국구지'라는 제목의 책 한 권을 발견한다. 그리고 그 책은 『반삼국지』라는 제목으로 세상에 선을 보인다. "만약 유비가 삼국을 통일했다면"이라는 가정하에 진행되는 이 삼국지는 '삼국지 야사'라 부를 만한 일종의 '대체역사소설'이다.
책은 상, 중, 하 세 권으로 이뤄져 있는데, 유비의 촉에 연전연패를 당한 조조가 유비의 군사인 서서를 붙잡기 위해 자신의 영내에 있던 서서 모친의 가짜 편지를 보내는 부분부터 시작한다(앞부분은 오래전에 소실되었다는 설정부터가 마치 잃어버린 역사의 한 부분을 보는 것처럼 흥미롭다).
또한 기존에 중시됐던 관우나 제갈량 등 대신에 마초, 위연 등이 삼국통일의 주역으로 등장하며 '간웅'이라 불리는 조조의 위나라에 끝까지 충성을 바치는 성황, 종회, 감녕, 서성의 활약상 등 '정사'를 완전히 뒤엎는 이야기 전개가 독특하다. 제1회 한국번역상 대상을 수상한 김석희씨의 매끄러운 번역 또한 매끄러운 독서를 선사한다.
목차
".주요 등장인물
.조운, 군대를 이끌로 구리관으로 가다
마초, 군량을 맹진역에서 태우다
.제갈양, 신안을 불태우고 지뢰를 시험하다
사마의, 낙수를 지키며 참호를 파다
.한군과 위군, 낙양성에서 대격전을 벌이다
허의와 전만, 맹진현에서 함께 패하다
.제갈양, 낙수에서 놀며 시를 읊다
손권, 합비를 얻고 격문을 날리다
.서성, 신념을 다하고 신채에서 죽다
조조, 장하를 말려버리라는 유언을 남기다
.유비, 군대를 이끌고 남양에 주둔하다
조운, 물줄기를 돌려 임영에 물을 대다
.조운, 이전을 쳐부수고 허창으로 들어가다
마초, 화흠을 불고기로 만들고 가짜 무덤을 파헤치다
.장요, 성을 사수하다 섭현에서 죽다
사마의, 군대를 이끌려 연진으로 후퇴하다
.마초, 상당에서 나와 안양을 습격하다
장비, 형택을 건너 원무에서 싸우다
.마초, 형태현에서 조창을 추격하다
위연, 유주성에서 정욱을 사로잡다
.공손연, 유주성에서 목을 바치다
사마의, 연진현에서 포위되다
.유선, 강릉역에서 자객을 만나다
여몽, 군대를 나누어 봉구성을 습격하다
.한.위.오 삼국이복양성에서 싸우다
강유.왕평. 장의, 장구읍에서 적진에 들어가다
.여몽, 복양성에서 전사하다
사마의, 동아현으로 퇴각하다
.조인, 동아를 구하려다 복병의 습격을 받다
관도가 격파당하고 우금이 다시 사로잡히다
.제갈양, 산동을 평정하고 하늘로 돌아가다
손권, 강북을 잃고 목숨을 잃다
.황개, 구강구에서 장렬하게 전사하다
장비, 채석기에서 병사를 좇다
.백문에 고각이 울리니 한나라 장수가 성공을 거두다
황해에 누선을 띄우고 오나라 군신이 생사를 함께하다
.조운, 투구를 새로 쓰고 민구를 평정하다
정완, 병사들을 독려하여 교광을 얻다
.누상촌의 나무가 마르고, 왕중왕 유비가 서거하다
유성새에 가을 하늘이 높고, 적이 내습하다
.왕손 유심, 제위에 올라 중흥을 계속하다
승상 방통, 관제를 정비하고 옛 제도로 돌아가다
.공신을 봉하고 여섯 왕이 최고상을 받다
군구를 정하고 네 도독이 변경을 진압하다
.마초, 비단옷을 입고 서량으로 돌아가다
조식, 슬픔의 노래를 부르다"